bar_progress
Dim영역

"지방 집이 안 팔린다"…2월 아파트 입주율 하락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지방 주택시장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 기존 주택 매각도 지연되면서 지난달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1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5.2%에서 77.1%로 상승했으나,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0.6%로, 기타 지역은 63.9%에서 60.1%로 내렸다.

수도권인 서울(79.2→79.7), 인천·경기권(73.2→75.8)은 입주율이 상승했으나, 비수도권은 강원권(60.0→52.0), 대전·충청권(66.5→59.7), 광주·전라권(61.6→59.3), 대구·부산·경상권(64.9→62.7)에서 입주율이 모두 하락했다. 주산연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와 대대적인 규제 완화로 수도권 인기 지역부터 주택가격 하락세가 둔화되고 거래량이 회복되는 추세에 들어섰으나, 지방 주택시장은 여전히 침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 발생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3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및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과 경기침체 확장국면으로 인해 당분간은 침체국면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미지제공=주택산업연구원]

[이미지제공=주택산업연구원]

원본보기 아이콘

미입주 원인 중 ‘기존 주택매각 지연’은 전월 41.7%에서 44.4%로 상승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했다. 반면 ‘세입자 미확보’(33.3%), ‘잔금대출 미확보’(14.3%), ‘분양권 매도 지연’(1.6%)은 지난달보다 감소했다.

한편 2월 대비 3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2.1에서 80.2로 8.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주산연은 "규제지역 전면 해제, 전매제한 기간 완화, 다주택자 규제 완화, 무주택자 대출규제 완화, 부동산 관련 세제 완화 계획 발표 등 주택시장 연착륙 대책에 대한 기대심리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하루 4시간에 월600만원 이 직업…'골프공 수거단' "평등 꿈꾸지 않는 당신을 위해" 분양가 수백억 아파트 광고 논란 심장이식 부부 탄생…"서로의, 누군가의 희망이 될게요"

    #국내이슈

  • "포켓몬 스티커 준대"…'피카츄 비행기' 뜨자 어른들도 '동심 출장' '피눈물 성모' 조작 논란에…교황 "항상 진짜는 아냐" "계약 연장 안 해요, 챗GPT로 되네요"…배관공된 카피라이터들

    #해외이슈

  • "다리가 어딨냐, 된장 찌꺼기다" 벌레 둥둥 매운탕 "재난영화 방불…순식간에 집어삼켰다" 수에즈운하 뒤덮은 초거대 모래폭풍 성조기 흔들며 "中, 자유민주국가 돼야"…베이징 한복판 한 여성의 외침

    #포토PICK

  • 韓에 진심인 슈퍼카 회사들…‘페람포’에 로터스까지 참전 현대차·기아, 5월 美 친환경차 月판매 역대 최대 아시아 최초 페라리 전시회 한국서 개막…"역사 한 눈에"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흑인 인어공주가 논란 부른 'PC주의' [뉴스속 그곳]환경파괴 악명에 폐쇄된 '벤타나스 제련소' [뉴스속 용어]정부 독자 대북제재 명단 오른 '김수키'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