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반도체 혁신인재 15만명 육성 목표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정부가 반도체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실탄을 투입한다. 올해부터 반도체 고급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3개 대학에 연간 90억원, 5년간 15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을 받은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은 석·박사인력 약 5000여명 양성을 목표로 올해 2학기부터 신입생 교육에 착수한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반도체 산업의 석박사 인재육성을 위해 특성화대학원 지정·지원 신청에 관한 통합공고를 발표했다. 신청기간은 이날부터 오는 3월2일까지다. 반도체 특별법으로 불리는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37조에 따른 특성화대학원 지정·지원의 첫 걸음을 뗀 것이다. 지난해 11월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의결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원 추진계획’의 후속조치인 셈이다.
산업부는 석박사 학위과정 운영, 전임교원 및 입학정원 확보, 교육환경 구축 등 조건을 갖춘 반도체 특성화대학원 설치(예정) 대학을 대상으로 접수를 받아 심사를 통해 3곳을 선정한다. 선정된 곳에는 인건비(학생인건비 포함), 교육환경 구축비(교육ㆍ연구장비 등), 교육과정 개발ㆍ운영비, 기업과 연계한 산학 프로젝트 교육비 등을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대학당 연간 30억원 내외, 최대 5년간 150억원이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은 석·박사인력 약 5000여명 양성을 위해 신입생을 받아 올해 2학기부터 교육을 시작한다. 교육과정은 산업계 전문가를 교원으로 적극 활용해 산업계 수요기반의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향후 배출인력에 대한 채용 매칭 및 취업 컨설팅 등 사후관리도 추진한다.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1292억3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는 미래산업의 핵심이자 국가안보 자산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현재 우리나라의 반도체 분야 산업인력 수가 17만6509명에 불과해 향후 10년간 12만7000명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인력을 30만명 이상으로 늘리려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학사, 석박사급의 전문 인력 양성이 절실하다. 정부가 반도체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나서고 있는 것도 반도체 핵심 인재 부족으로 추가 성장이 어렵다는 업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조치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에서 2031년까지 반도체 혁신인재 15만명 이상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반도체 교육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반도체 특성화 대학원으로 지정해 과감한 재정지원과 교원자격, 수업연한, 수업방법 등에 대한 규제 특례를 적용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이밖에 반도체 관련학과 신증설 시 교원 확보율만 충족하면 정원 증원을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학과 설치 없이 기존 학과의 정원을 한시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계약정원제’도 올해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한편, 산업부는 반도체 뿐 아니라 국가첨단전략기술분야로 지정된 이차전지·디스플레이도 관련 업계 및 전문가와 함께 석박사 인력수급 현황과 전망을 면밀히 분석해 내년에 1~2개의 특성화대학원 시범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첨단전략기술 분야 특성화대학원을 지속 확대하기 위한 대규모 지원사업도 기획한다. 2023~2026년 4년간 총 20교 내외 지정을 추진한다는 목표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생일 때 잔뜩 받은 스벅 기프티콘도 쏠쏠한 용돈[MZ테크]⑨](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32910331270653_1680053592.jp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