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부터 장단기금리역전 현상 계속
과거 6차례 금리역전…평균 14개월후 경기침체 진입
내년 상반기 연준 피봇, 금리역전 반등시 투자종목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올해 경기침체 신호로 읽히는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장단기금리차는 미국 10년 국채수익률과 2년 국채수익률의 차이로, 통상 장기물의 금리가 높다. 하지만 기준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단기물 금리가 빠르게 치솟으면서 장기물보다 높아지는 장단기금리차 역전이 발생할 경우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았다. 다만 단기물 금리를 밀어 올리는 금리 인상의 경우 최근 미국 물가상승이 주춤해지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할 수 있어 장단기금리차 반등에 대비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하나증권에 따르면 1978년 이후 6차례의 장단기금리차 역전 현상 발생했으며, 평균 14개월 이후 경기침체에 진입했다. 지난 7월부터 장단기금리차 역전이 이뤄진 만큼, 평균 기간을 도입하면 내년 9월께 경기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계산된다. 다만 장단기금리차 역전 이후 가장 빠르게 경기침체를 맞은 코로나19 사태의 경우 6개월을 계산하면서 당장 내년 1월에 경기침체에 도달할 수 있다.
내년에도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이 부각되고 있어 내년 1분기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정책이 마무리되면 장단기금리차 역전 폭이 축소되는 반등 가능성이 제기된다.
과거 미국의 물가 하락과 장단기금리차 상승 시기 주요 지수의 평균 수익률을 살펴보면, 다우존스지수가 수익률이 가장 높았고, 스탠다드푸어스(S&P) 500지수, 러셀2000, 나스닥 순이었다. 코스피의 월 평균 수익률은 1.5%로, 대형주와 중형주, 소형주 순으로 수익률이 높았다.
이 시기 성장주와 가치주는 월평균 수익률 차이가 없었다. 가장 성과가 좋았던 종목은 고마진인 하이 퀄러티 지수(0.6%)였고, 고배당과 모멘텀 종목의 수익률은 오히려 마이너스로 가장 부진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금의 CPI 하락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봐야겠지만, 일반적으로 물가 하락은 수요 약화로도 인식될 수 있다"며 "성장 모멘텀이 약화하는 상황에서 단기금리 하락으로 인한 장단기금리차 상승 국면에서 시장 지배력이 높고,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형주와 하이퀄러티지수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좋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이 시기에는 S&P500지수 24개 업종 중 유통과 반도체, 장비의 월평균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두 업종의 경우 상승확률이 56%와 52%에 불과해 성과가 좋았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수익률과 상승 확률이 안정적으로 높았던 업종은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장비, 원자재, 자본재 등이 꼽혔다.
코스피 26개 업종 중에서 IT가전, 소프트웨어, 반도체의 월평균 수익률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미국과 비슷하게 해당 업종의 경우 상승확률이 50% 내외로 낮은 편이다. 대신 은행과 건설, 화학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과 상승확률을 기록했다. 이 연구원은 "우선 장단기금리차 상승 반전 초기(3개월)에 미국과 국내 증시에서 금융섹터 주가가강세를 보이는 공통점이 있다"면서 "이는 순이자마진 상승 때문인데 기업 선별시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11,0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12%
거래량
47,233
전일가
812,0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롯데바이오, '3.7조 투자처' 인천 송도 낙점FOMC 훈풍…외인 '사자'·환율 '급락'에 코스피 0.8% 상승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
close
와
NAVER
NAVER
0354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23,500
전일대비
12,000
등락률
+5.67%
거래량
3,065,767
전일가
211,5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 외국인 매수세 힘입어 0.47% 상승…2480대 안착네이버, 지난해 영업익 역성장…"올 상반기 서치GPT 출시"(종합)[컨콜] 네이버 "올 상반기 서치 GPT 출시"
close
,
셀트리온
셀트리온
0682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69,100
전일대비
300
등락률
-0.18%
거래량
264,225
전일가
169,4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롯데바이오, '3.7조 투자처' 인천 송도 낙점[마켓ING]주주환원에 주목할 때셀트리온, 휴마시스에 손배소 제기…"납기 미준수 반복돼"
close
,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
0365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72,000
전일대비
6,000
등락률
+1.29%
거래량
91,031
전일가
466,0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팬덤 플랫폼 사업 철수 엔씨, 결국 인력 재배치 실시[특징주]엔씨소프트, 신작 출시 기대감에 강세'차익실현' 나선 기관, 새해 첫 거래일 코스피 하락마감
close
,
F&F
F&F
3832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52,500
전일대비
100
등락률
-0.07%
거래량
158,020
전일가
152,6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F&F, 4분기 영업익 1545억원…전년比 15.9% 감소F&F엔터, SBS 걸그룹 프로젝트 ‘유니버스티켓’ 제작[클릭 e종목]"F&F, 12월 한파·중국 경기 호전에 실적 기대감 ↑"
close
,
오리온
오리온
2715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23,300
전일대비
2,800
등락률
+2.32%
거래량
97,457
전일가
120,5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특징주]오리온, 실적개선 전망에 5%대 강세[클릭 e종목]"오리온, 원가율 상승에도 높은 이익률 기록" [클릭 e종목]"오리온, 중국 영업익 두달 연속 증가"…목표가 ↑
close
,
코웨이
코웨이
0212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6,400
전일대비
800
등락률
+1.44%
거래량
175,509
전일가
55,6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e공시 눈에 띄네]셀트리온, 3Q 영업익 2138억원…전년比 28% ↑(오후종합)주식부자 20명, 지분 평가액 27조원 날아갔다코웨이, 2Q 영업익 1760억원…전년比 5.7%↑
close
,
펄어비스
펄어비스
26375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48,500
전일대비
800
등락률
+1.68%
거래량
476,585
전일가
47,7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FOMC 훈풍…외인 '사자'·환율 '급락'에 코스피 0.8% 상승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
close
,
천보
천보
27828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41,500
전일대비
4,500
등락률
-1.83%
거래량
40,950
전일가
246,0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마켓ING]실적 호조에 전기차株 질주[마켓ING]잇단 호재에 달리는 2차전지株[마켓ING]2280선까지 밀린 코스피, 두달만에 최저
close
,
리노공업
리노공업
0584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69,100
전일대비
2,100
등락률
-1.23%
거래량
32,584
전일가
171,2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FOMC 훈풍…외인 '사자'·환율 '급락'에 코스피 0.8% 상승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개인·외인 쌍끌이에 코스피 소폭 오름세
close
,
한솔케미칼
한솔케미칼
0146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09,0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48%
거래량
31,562
전일가
210,0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클릭 e종목] "한솔케미칼, 3분기 QD 소재 매출 증가 어려울 것"한솔케미칼, 570억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클릭 e종목]"한솔케미칼 주가하락 과도해…저가매수 기회"
close
,
JYP Ent.
JYP Ent.
0359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72,800
전일대비
700
등락률
+0.97%
거래량
320,182
전일가
72,100
2023.02.03 15:30 장마감
관련기사
FOMC 훈풍…외인 '사자'·환율 '급락'에 코스피 0.8% 상승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개인·외인 쌍끌이에 코스피 소폭 오름세
close
등을 추천종목으로 꼽았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