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봉쇄 정책에 '쓰레기 홍수' 사태
[아시아경제 나예은 기자]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쇼핑과 음식 배달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이 2배 넘게 늘었다는 추산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과학저널 네이처의 한 논문을 인용해 코로나19 최초 발생 후 7개월(2019년 12월∼2020년 6월)간 세계적으로 약 5억3000만t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따라서 2020년 플라스틱 쓰레기 총량은 2019년(약 4억t)보다 2배 이상 늘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코로나19로 비대면 생활이 이어지면서 전자상거래와 음식 배달의 급증으로 포장재 쓰레기가 대량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런 폐기물은 다양한 플라스틱 합성물로 재활용되지 못한다.
홍콩 환경단체 '오션스아시아'(OceansAsia)는 2020년에 15억6000만개의 마스크가 바다로 흘러들어 해양 생물에 악영향을 끼쳤다고 추정했다.
특히 중국의 '코로나 제로' 정책이 '쓰레기 홍수'를 초래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중국은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지난 3월부터 상하이·베이징 등 주요 도시들에 대한 고강도 봉쇄를 이어가고 있고, 이 때문에 비대면 일상 쓰레기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하이에서는 의료진이 쓰는 개인보호장비(PPE) 등 코로나19 대응 관련 쓰레기가 코로나19 발생 이전 하루 약 308t에서 최근 하루 1400t으로 4.5배 이상 증가했다.
또 관영 일간 인민일보에 따르면 상하이 일반 가정의 코로나19 관련 쓰레기는 하루 73t에서 이달 들어 하루 3300t으로 폭발적으로 늘었다.
중국 일반 가정에선 생활 쓰레기에 대해 재활용 등 분류 작업을 거치지 않고 있으며, 도시 생활 쓰레기의 약 97%가 땅에 묻히거나 소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중국에서 온라인 쇼핑으로 인해 2018년에는 940만t의 포장재 쓰레기가 나왔다면서, 2025년에는 그 양이 4100만t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