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물질 개발 기업 5곳·약물 재창출 6곳
대부분 2상·3상 진행 중이지만 포기한 기업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영원 기자] 코로나19 '국산 1호 백신'이 국내 승인 절차에 돌입하면서 먹는 치료제를 개발 중인 국내 기업에도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 29일
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7,7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1.50%
거래량
101,967
전일가
66,70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디지털 전환' 나선 SK바이오사이언스…"LIMS 운영 개시"SK바사 방문한 세르비아 총리…백신 자국화 업무협약 체결SK바사, '붙이는 장티푸스 백신' 개발 나선다…백사스와 업무협약
close
가 자체 개발한 스카이코비원멀티주(GBP510)의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허가를 신청해 첫 국산 코로나19 백신 탄생은 코앞으로 다가왔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허가된 먹는 치료제 중 국내 기업 제품은 전무하다.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 모두 미국 제약사인 화이자, 머크의 제품이다.
셀트리온
셀트리온
0682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39,200
전일대비
2,600
등락률
+1.90%
거래량
259,540
전일가
136,60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셀트리온, 日서 휴미라 시밀러 '유플라이마' 판매허가 획득'직판' 날개 단 셀트리온헬스케어…잇따른 유럽 항암제 수주 성공코스피, 2500선 지키며 마감…"외인과 기관은 팔자"
close
의 주사형 항체치료제 '렉키로나'가 유일한 국산 코로나19 치료제지만, 방역당국은 렉키로나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는 근거로 지난 2월28일부터 신규 공급을 중단했다.
먹는 치료제는 항체치료제보다 광범위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포스트 오미크론 시기 고위험군·재유행을 고려해 코로나19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하고 처방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먹는 치료제는 검사-처방-재택치료로 연계되는 '고위험군 패스트트랙'에 포함돼 앞으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먹는 치료제를 개발 중인 국내 기업은 최소 11곳이다. 이 중 새로운 후보물질로 개발하는 곳은
동화약품
동화약품
0000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800
전일대비
220
등락률
+2.30%
거래량
35,637
전일가
9,58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동화약품, 베트남 약국체인 391억에 인수…"동남아 진출 교두보"동화약품, 겨드랑이 다한증 치료제 '에크락겔' 도입동화약품, 'ATP 통산 2회 우승' 권순우와 스폰서십
close
,
진원생명과학
진원생명과학
0110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535
전일대비
50
등락률
+1.43%
거래량
163,636
전일가
3,485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진원생명과학 VGXI 신규 공장, 美 ENR ‘2023년 제조업 분야베스트 프로젝트’ 선정진원생명과학, 25억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진원생명과학, '제누졸락' 자가면역 포도막염 치료 효과 확인
close
, 제넨셀,
일동제약
일동제약
2494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1,000
전일대비
250
등락률
+1.20%
거래량
353,602
전일가
20,75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특징주]일동제약, 연구소 분할로 '두마리 토끼'…신약개발 파이프라인 가치↑일동제약, '자원순환 선도기업 대상' 국무총리 표창 수상일동제약, 당뇨·비만 먹는 치료제 개발 출사표…1상 계획 승인
close
, 바이오리더스 등 5곳이다. 약물 재창출로 국내 1호 먹는 치료제를 노리는 기업은
CG인바이츠
CG인바이츠
0837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980
전일대비
55
등락률
+1.88%
거래량
60,117
전일가
2,925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CG인바이츠, ESMO에서 '캄렐리주맙' 임상결과 13건 공개CG인바이츠, 제3자 배정 유증 철회…"오버행 우려 해소돼"CG인바이츠 "아셀렉스-프레가발린 병용요법 美 특허 획득"
close
,
대웅제약
대웅제약
0696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2,800
전일대비
10,400
등락률
+10.16%
거래량
268,146
전일가
102,40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대웅제약 "오송공장, 미래 의약품 생산 선도하는 공장될 것"[르포]'스마트'해지니 품질도 '초격차'…대웅제약 오송 스마트공장대웅제약 톡신 나보타, 상반기 매출 753억…"역대 최대치 경신"
close
,
신풍제약
신풍제약
0191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5,400
전일대비
60
등락률
+0.39%
거래량
116,478
전일가
15,34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금융위,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 신풍제약 현장조사식약처 "세프테졸나트륨, 유효성 입증 못해…사용중지 권고"개미의 반란…삼삼오오 1% 지분 모아 주주제안 나서
close
, 아미코젠파마,
대원제약
대원제약
0032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6,310
전일대비
140
등락률
+0.87%
거래량
58,542
전일가
16,17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인도네시아 진출하는 대원 '펠루비'감기약 대란·품질 논란 걱정 '뚝'…대원제약, 스마트 공장 멈춤없다대원제약, 코대원에스시럽에 '상기도 감염' 적응증 추가
close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 6곳이다.
국산 최초 먹는 치료제로 가장 유력한 것은 일동제약과 일본의 시오노기제약이 공동 개발하는 'S-217622'다. 현재 국내에서 무증상 및 경증·중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2b·3상을 진행하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에도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 일본 정부와 100만명분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동화약품의 후보물질 'DW2008S'는 지난 3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 임상지원과제로 선정됐다. 동화약품은 앞으로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임상2상을 진행하게 된다.
다른 기업들도 대부분 2상 이상의 임상 단계에 있다. 제넨셀은 지난달 29일부터 'ES16001' 2·3상을 위한 환자를 모집하기 시작했다. 대웅제약은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DWJ1248(카모스타트)' 3상을 계획을 승인 받았다.
임상2상 수준에서 치료제 개발을 중단한 기업들도 있다.
부광약품
부광약품
0030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210
전일대비
70
등락률
+1.14%
거래량
52,189
전일가
6,140
2023.09.27 15:3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부광약품, 조현병·양극성 치료제 '라투다정' 급여 신부광약품, ESG 경영 강화 담아 홈페이지 새단장콘테라파마 "JM-010, 내년 2상 결과 기대…플랫폼 '노바'는 새 동력"
close
은 코로나19 경증·중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CLV-203' 임상2상 결과 위약 대비 주 평가변수에서 치료 효과 유의성을 입증하지 못해 개발을 멈췄다. 변화하는 코로나19 상황도 변수다. 대웅제약은 경증·중등증을 대상으로 한 카모스타트 2·3상을 중단한 상태다. 대웅제약 측은 "오미크론 변이가 주를 이루며 코로나 중증화율이 급감했고 확진자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경증 치료제 개발의 의학적 중요성이 낮아졌다"고 중단 이유를 설명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