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가상자산 법제화 추진" VS 윤석열 "코인 5000만원까지 비과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본관 앞에서 열린 '2022 증시대동제'에 참석, 세리머니 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 제공=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전진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이른바 '코인러'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가상자산 세금 부담을 완화하는 정책을 일제히 내놨다. 가상자산이 2030 청년세대의 주요 관심사라는 점에서 청년층을 겨냥한 성격이 다분하다.
윤 후보는 1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코인 수익 5000만원까지 완전 비과세', '국내 코인발행(ICO) 허용', '대체불가토큰(NFT) 거래 활성화를 통한 신개념 디지털자산시장 육성' 등을 담은 '가상자산 개미투자자 안심투자' 공약을 발표했다. 현행 250만원인 코인 양도차익 기본공제를 주식과 동일하게 상향하겠다는 것이다. 윤 후보는 국내 코인발행과 관련해선 "안전장치가 마련돼 있는 거래소 발행(IEO) 방식부터 도입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청년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적극 조성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후보도 이날 가상자산 거래소 현장 간담회를 열고 가상자산 법제화, 가상자산 거래 안정성 확대를 통한 투자자 업계 보호 등 시장친화적 정책을 발표했다. 2030을 중심으로 한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과중한 세부담을 토로한데 따른 응답을 내놓은 것이다.
여야에서는 청년층 공략이 본격화되는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아무래도 가상자산은 청년들이 관심이 가장 많은 분야다보니 청년층을 겨냥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정책본부 부본부장은 "기존에는 없다가 새로 열리는 시장이다보니 인재 풀이나 투자 대상 가운데 젊은 세대가 상당하다"며 "청년을 위한 공약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겠다"고 말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