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욱 연구원은 기업은행 3분기 추정 순이익을 2940억원으로 제시했다. 시장컨센서스에 거의 부합하는 것으로 TV수출업체 온코퍼레이션 관련 약 400억원 정도의 추가 손실 처리를 감안하면 비교적 선방하는 수준이다.
최 연구원은 "최근의 주가수익률 저조 현상은 타행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자본비율과 올해 말 임기만료인 경영진 변화 가능성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전 경영진의 경영 전략 방향에 따라 주주가치 변화를 극심하게 겪었던 과거 사례로 인해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영진 변화가 주주가치에 꼭 부정적 요인만은 아니었으며 내·외부 출신 여부가 큰 영향을 준 것도 아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11월말~12월초 경영진이 최종 확정될 경우 지금의 과도한 우려는 크게 완화될 것이라는 게 최 연구원의 판단이다.
한편 기업은행 보유 KT&G 주식 950만주는 내년으로 매각이 이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현 경영진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내 매각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최 연구원은 "전량 매각을 가정할 경우 전날 KT&G 주가 11만9500원 기준 세전 약 9240억원의 매각익 발생이 가능하다"며 "2017년 기업은행 이익추정치를 1조3000억원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KT&G 매각익을 거의 반영하지 않고 있는 상태라 실제 내년 순익은 추정치를 크게 상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