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양측의 주된 논쟁거리는 예산이다. 모병제 반대 측에서는 예산을 우리나라가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신 대표는 "현재 병사들의 인건비는 총 7000억원인데 이를 35만면 모병으로 바꾸면 7조원이 된다"면서 "모병의 호봉이 최저임을 가정하더라도 매년 6조3000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병력이 줄어들면 장비의 질을 대폭 강화시켜 전력을 유지해야 하기에 추가 재원이 더 들어갈 수 있어 현실적으로 모병제 실시가 쉽지 않음을 강조했다.
반면 모병제 실시에 막대한 추가예산이 필요치 않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기존의 재원에서 병력 수를 줄여 아낀 비용만큼을 다시 재투자하면 추가 재원 없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추가적인 재원을 엄청나게 들이지 않고도 군 징병제와 모병제 구조를 바꿈으로써 훨씬 더 제대로 된 군대, 활기차고 훈련받으면서 인격이 존중되는 이런 군대를 만들 수 있다"며 "폐쇄적인 군 문화를 계속 이어가고 싶어 하는 몇몇 사람들의 기득권 논리 때문에 군대를 고질적 병폐 속에 가둬놔야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추가 예산을 들이더라도 점진적으로 모병제 전환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백군기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모병제는 징병제에 비해 병력 수급이 어렵고 투입 재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기 때문에 충격완화 장치가 필요하다"며 "먼저 전문성을 요구하는 기술·전문 병과 위주로 모병제를 시행하고 점차 다른 분야로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준우 기자 sowha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