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팀 관련 논문 발표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국내 연구팀이 빛으로 뇌 신경세포 성장인자수용체를 원격제어 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광유도 뇌신경세포 성장인자수용체(OptoTrk) 기술의 핵심은 신경세포에 별도의 물질처리를 하지 않고 빛만을 사용해 신경세포를 작동하게 한 것이다.
빛을 쬐어 주는 순간 수용체는 순식간에 활성화되고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을 유도함으로써 신경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유도했다. 지금까지 생체작용물질(natural ligand)이 특정 수용체를 조절하는데 널리 사용돼 왔는데 이 방법으로는 수용체를 시공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시간 소요로 인해 세포내에 역동적 신호망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 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직무대행 신희섭)의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신희섭) 허원도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광유도 뇌신경세포 성장인자수용체 (OptoTrk)'로 명명된 이 기술은 빛으로 세포막에 위치한 특정 수용체를 원격조정 할 수 있는 광유전학분야 신기술로써 연구진은 이를 신경세포에 적용해 신경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출판그룹이 발간하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0.015, JCR 상위 5.35%)온라인 판 6월 4일자(논문명: 빛으로 신경세포막 수용체의 기능 조절 기술 개발(Light-inducible receptor tyrosine kinases that regulate neurotrophin signalling)에 실렸다.
허 교수는 "빛이 갖고 있는 장점은 형광등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다는 것인데 단순하게 빛을 쬐어주고 다시 끄는 방법을 통해 세포막 수용체를 조절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며 "빛을 쬐어주는 빈도를 조절함으로써 하위 신호전달의 지속성도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세포의 분화 또한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데 이번 연구 성과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