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銀·캠코·예보 등 8곳은 0명…"확대 계획" 구호에 그쳐
적극 활용한 곳은 기업은행뿐, 작년 109명 뽑아 대조적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박근혜정부의 핵심 고용 정책인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금융공기관에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각 기관이 시간선택제 채용을 확대할 계획을 밝히고 있지만 속내는 다르다.
시간선택제는 주로 출산ㆍ육아 등을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박근혜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인 '2017년 고용률 70% 달성'의 주요 실천과제다. 하지만 8개 금융공기관은 지난해 총 758명을 채용하면서도 시간선택제 일자리에는 소극적이었다.
8개 기관 중 지난해 가장 많은 414명을 채용한 산업은행에서 시간선택제의 자리는 없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도매금융 위주의 업무구조로 팀 단위로 일을 하기 때문에 개별 업무수행에 적합한 시간선택제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다음으로 많은 101명을 채용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반면 시간선택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기관도 있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해 109명의 시간선택제 준정규직을 채용했다. 당초 100명을 채용할 계획이었지만 탈락시키기 아쉬운 인재가 많아 10%가량 더 뽑았다는 후문이다. 기업은행은 올해 하반기에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의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채용할 계획이다.
기술보증기금도 지난해 신규 채용인원 33명 중 7명을 시간선택제로 채웠다. 기술보증기금은 특히 시간선택제 일자리 일부를 고졸인력과 연계해 신입사원이 수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하지만 상당수 기관은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시간선택제 고용 확대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올해부터 기관 경영실적평가에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평가지표로 삼으면서 기관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까다로운 기준을 들이대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2017년까지 신규 채용인원의 7%를 시간선택제로 채운다는 목표 하에 산하 기관에도 관련 지침을 내려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인력 중 일부를 시간선택제로 전환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지난 4월에는 고용부가 금융공기관과 금융사 인사담당자를 불러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홍보하는 자리를 갖기도 했다.
그러나 한 기관 관계자는 "각 기관마다 인력수급 계획에 차이가 있는데 일률적인 기준을 내려 보내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면서 "정부가 유연성을 발휘하는 것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안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볼멘소리를 했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