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장기이식센터 3곳중 2곳, 신장이식 대기자 관리 미흡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서울대병원, 전국 35개 장기이식센터 조사결과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국내 장기이식센터 3곳 가운데 2곳은 신장이식 대기자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전국 35개 장기이식센터를 조사한 결과, 신장이식 대기자를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고 있는 곳은 35%에 불과했다고 26일 밝혔다. 암ㆍ심장병 같은 합병증과 관련된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각각 63%, 17%에 그쳤다.
신장 이식 대기자는 심장질환이나 감염, 암 등의 발생 위험이 일반인 보다 높다. 최근에는 대기자 가운데 당뇨병 환자와 고령자가 늘고 있어 여러 합병증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기자에 비해 장기를 기증하는 뇌사자가 부족해, 신장 이식을 받으려면 평균 4∼5년을 기다려야 하는데, 이 기간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대기자가 많다. 또 이식받을 순서가 와도 관리 부주의로 인한 합병증으로 이식 기회를 놓치는 사례도 빈번하다.

따라서 이식 대기자의 건강관리와 이식 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양재석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교수는 "이식 대기자들이 4~5년을 기다린 후 어렵게 신장이식 받을 순서가 와도 이식 받을 몸 상태가 안 돼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이식 대기자들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식 대기자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중인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신장이식 대기자 전용 외래를 개설하고 전담 의료진이 정기적으로 건강상태와 이식 준비 상태를 확인한다. 특히 이들을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눈 뒤, 간ㆍ유방ㆍ자궁경부ㆍ피부ㆍ폐ㆍ전립선ㆍ신장ㆍ뼈ㆍ심장ㆍ감염 등에 대해 환자 맞춤형 정기 검진을 권장하고, 이식을 발견되면 조기 치료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따르면 연간 1000여명의 환자가 신장이식 대기자로 등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신장이식 대기자는 1만2300명에 이르지만, 뇌사자 신장이식은 768건에 불과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