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의장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후진적인 국회법으로 정치 발전을 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의장에게 직권상정을 무조건 '하라', '하지 말라'는 식의 삼류적인 국회법 제도는 하루 속히 없어져야 한다"며 "모든 책임은 헌법기관인 국회의원 각자가 져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18대 국회 하반기 최대 이슈인 개헌 문제에 대해 "상식적 입장에서 개헌의 적기는 18대 전반기였지만, 18대 전반기에서 후반기에 접어드는 6∼7개월이 두 번째 적기"라고 헌법 개정 작업 착수를 촉구했다.
퇴임 후 행보에 대해선 "국회의장이 된 2년간 이명박 정부가 성공해야 한다는 신념에서 살았다"며 "물러나도 이명박 정부가 성공하기 위해 백의종군 자세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특히 천안함 침몰 사태에 대해 "한반도의 안정과 국민의 재산과 즉결되는 대한민국 국회에서 대북결의안 채택에 미적거리는 것은 다른 나라에서 볼 때 이해를 못할 것"이라며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대북결의안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지연진 기자 gyj@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